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1950년 한국 전쟁 중 미국군이 충청북도 영동군 노근리 일대에서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이다. 전쟁 발발 이후 미군은 북한군의 침투를 우려하여 민간인에게 발포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로 인해 1950년 7월 25일부터 29일까지 노근리 일대에서 수백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사건 이후 미국 정부는 책임을 부인하며 진상 규명을 거부했으나, 생존자들과 언론의 노력으로 진실이 드러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미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을 조사하고, 특별법 제정을 통해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기념 시설을 건립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으며, 반미 감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동군의 역사 - 영동역 유조열차 탈선 사고
1993년 영동역에서 발생한 유조열차 탈선 사고는 기관사의 졸음운전과 과속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고 경부선 운행을 중단시킨 사고이다. - 미국이 저지른 학살 - 미라이 학살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군 찰리 중대가 꽝응아이성 미라이 마을에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폭로되어 전쟁 범죄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 미국이 저지른 학살 - 칸다하르 학살
2012년 3월 11일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주에서 미군 로버트 베일스 상사가 민간인 16명을 살해한 칸다하르 학살은 아프간 국민들의 반미 감정을 격화시키고 탈레반의 복수를 불러 평화 회담을 중단시켰으며, 베일스 상사는 군사 재판에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미국이 저지른 전쟁 범죄 - 미라이 학살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군 찰리 중대가 꽝응아이성 미라이 마을에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폭로되어 전쟁 범죄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 미국이 저지른 전쟁 범죄 - 칸다하르 학살
2012년 3월 11일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주에서 미군 로버트 베일스 상사가 민간인 16명을 살해한 칸다하르 학살은 아프간 국민들의 반미 감정을 격화시키고 탈레반의 복수를 불러 평화 회담을 중단시켰으며, 베일스 상사는 군사 재판에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
---|---|
개요 | |
![]() | |
위치 | 노근리, 대한민국 (노건리라고도 함) |
날짜 | 1950년 7월 26일 – 1950년 7월 29일 |
유형 | 총격 및 공습 |
사망자 | 대한민국에 따르면 최소 163명 사망 또는 실종 생존자에 따르면 약 400명 사망 미국에 따르면 불명 |
피해자 | 한국인 피난민 |
가해자 | 미합중국군 제7기병연대 |
명칭 (한국어) | |
한글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한자 | 老斤里 良民 虐殺 事件 |
로마자 표기 | Nogeunni Yangmin Haksal Sageon |
영어 명칭 | No Gun Ri massacre 또는 No Gun Ri Case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반도는 분단되어 미국과 동맹을 맺은 남한과 소련과 동맹을 맺은 북한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긴장은 결국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의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극에 달했다.[2]
개전 초기, 미군과 남한군은 북한군의 진격을 막지 못하고 후퇴를 거듭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남한 민간인들이 피난길에 올랐고, 미군은 이들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 특히 미군은 피난민 대열에 북한군이 섞여 있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가졌고,[5] 이러한 우려는 결국 민간인에 대한 발포 명령으로 이어졌다.[6][7] 호바트 R. 게이 소장과 같은 지휘관들은 전쟁 지역에 남겨진 한국인들을 "적의 첩자"로 간주하기도 했다.[8][9]
2. 1. 한국전쟁 발발과 미군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미국과 동맹을 맺은 남한과 소련과 동맹을 맺은 북한 사이에 수년간 국경 분쟁이 벌어졌다.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이 한반도 통일을 시도하기 위해 남한을 침공하여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2]이 침략은 남한과 미국의 동맹국들을 놀라게 했고, 남한군은 후퇴했다. 미국은 일본에서 병력을 이동하여 남한군과 함께 싸웠다. 7월 1일에 첫 번째 병력이 상륙했고, 7월 22일에는 제1 기병사단을 포함한 3개의 미국 육군 사단이 한국에 주둔했다.[4] 이 미국 병사들은 훈련이 부족하고 장비가 열악했으며, 경험이 부족한 장교들이 지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들은 전쟁으로 이재민이 된 민간인을 다루는 훈련이 부족했다.[3] 미군과 남한군은 처음에는 북한군의 진격을 막을 수 없었고, 7월 내내 후퇴를 계속했다.[4]
7월 5일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의 최초의 미군 지상군 교전 이후 2주 동안, 미 육군은 38만 명의 남한 민간인이 남쪽으로 피난하여 후퇴하는 미군과 남한군을 통과했다고 추정했다.[4] 미군의 전선에 틈이 생기면서 후방에서 공격을 받았고,[4] 변장한 북한군이 난민 행렬에 침투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5]
2. 2. 미군의 초기 대응과 혼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미국과 동맹을 맺은 남한과 소련과 동맹을 맺은 북한 사이에 수년간 국경 분쟁이 벌어졌다.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은 한반도 통일을 시도하기 위해 남한을 침공하여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2]침략은 남한과 미국의 동맹국을 놀라게 했고, 남한군은 후퇴했다. 미국은 일본에서 병력을 이동하여 남한군과 함께 싸웠다. 7월 1일에 첫 번째 병력이 상륙했고, 7월 22일에는 제1 기병사단을 포함한 3개의 미국 육군 사단이 한국에 주둔했다.[4] 이 미국 병사들은 훈련이 부족하고 장비가 열악했으며, 경험이 부족한 장교들이 지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그들은 전쟁으로 이재민이 된 민간인을 다루는 훈련이 부족했다.[3] 미군과 남한군은 처음에는 북한군의 진격을 막을 수 없었고, 7월 내내 후퇴를 계속했다.[4]
7월 5일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의 최초의 미군 지상군 교전 이후 2주 동안, 미 육군은 38만 명의 남한 민간인이 남쪽으로 피난하여 후퇴하는 미군과 남한군을 통과했다고 추정했다.[4] 미군의 전선에 틈이 생기면서 후방에서 공격을 받았고,[4] 변장한 북한군이 난민 행렬에 침투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5] 이러한 우려 때문에 최전선 지역의 한국 민간인에게 발포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이 명령은 수십 년 후 기밀 해제된 군사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6][7] 이 명령을 내린 사람들 중에는 소장 호바트 R. 게이 제1 기병사단장이 있었는데, 그는 미군 종군 기자 O.H.P. 킹과 미국 외교관 해럴드 조이스 노블에 따르면 전쟁 지역에 남겨진 한국인들을 "적의 첩자"로 간주했다.[8][9] 7월 25일 밤, 그 사단의 제2대대, 제7기병연대[10]는 적의 돌파 소식을 듣고 전방 진지에서 후방으로 도주하여 다음날 아침 재편성되어 노근리 (No Gun Ri로도 표기) 근처에 참호를 팠다.[4][11] 1950년 7월 26일, 이 병사들은 근처의 주곡리와 임계리에서 온 수백 명의 난민들이 접근하는 것을 보았다.[12]
3. 노근리 학살 사건의 경과
한국 전쟁 중 북한군의 공격을 방어하던 유엔군 소속 미국 육군제7기병연대는 충청북도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의 경부선 철교 부근에 있던 한국인 피난민들 속에 북한군이 섞여 있다고 의심하여, 피난민들을 철교 위에 모아 공군기가 기관총 사격을 가하고 도망치는 사람들을 쫓아가 사살했다. 이로 인해 약 300명의 한국인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은폐되어 왔으나, 1994년 한국인 생존자가 저서를 출판하고 1999년 AP 통신이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1999년 10월 29일 주한 미군이 현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2004년에는 노근리 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했다.
3. 1. 사건 발생 (1950년 7월 25일 ~ 7월 29일)
1950년 7월 25일, 북한군이 노근리에서 서쪽으로 11km 떨어진 영동을 점령하자, 미군은 추곡리와 임계리 주민들을 포함하여 인근 마을에서 대피시켰다. 이들은 남쪽으로 향하는 주요 도로를 따라 걸어가면서 다른 피난민들과 합류했고, 약 600명의 피난민들은 노근리에서 서쪽으로 5.5km 떨어진 하가리 부근 강둑에서 밤을 보냈다. 밤중에 일행에서 벗어난 7명의 피난민들이 미군에 의해 살해되었다.[14] 7월 26일 아침, 마을 사람들은 호위 병사들이 떠난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도로를 따라 계속 가다가 노근리 근처 검문소에서 미군에게 제지당했고, 병행하는 철로로 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곳에서 미군은 그들과 소지품을 수색하여 칼과 기타 물품을 압수했다. 정오쯤, 피난민들이 철로 둑을 따라 흩어져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군용기가 그들을 기총 소사하고 폭격했다.[13] 당시 10살이었던 양해찬은 공습을 기억하며, 공격하는 비행기가 반복적으로 돌아왔고 "피난민들 사이에서 혼란이 일어났습니다. 우리는 도망치려고 미친 듯이 뛰어다녔습니다."라고 말했다.[14] 그는 다른 생존자와 함께 병사들이 다시 나타나 부상자들에게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15][16]생존자들은 처음에는 철로 아래 작은 암거에서 피난처를 찾았지만, 병사들과 미군의 지상 사격으로 인해 그곳에서 콘크리트 철도 다리 아래의 이중 터널로 몰려났다. 각 24m 길이, 6.5m 너비, 12m 높이의 다리 아래 통로 안에서, 그들은 다리 양쪽에서 미 육군 제7기병연대 병력의 맹렬한 기관총과 소총 사격을 받았다.[13] 당시 12살 소녀였던 전춘자는 "미군들은 파리 가지고 노는 아이들처럼 우리 목숨을 가지고 놀았다"고 말했다.[17] 4살 아들과 2살 딸이 죽고 자신이 심하게 다친 생존자 박선용은 "아이들은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질렀고 어른들은 목숨을 구걸하며 기도했는데, 그들은 한시도 총을 멈추지 않았다"고 말했다.[14]
두 통신 전문가 래리 레빈과 제임스 크럼은 2대대 지휘소로 피난민들에게 사격하라는 명령이 상부, 아마도 제1기병사단에서 내려온 것을 기억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지상 사격이 피난민 가족들 사이에서 떨어진 박격포탄으로 시작되었고, 레빈이 "광란"이라고 부른 소화기 사격이 뒤따랐다고 회상했다.[18][21] 일부 대대 참전 용사들은 최전선 소대 장교들이 발포하라고 명령했다고 회상했다.[19] 전 소총수 허먼 패터슨은 "그들 안에 적이 있다고 추정했다"고 말했다.[17] 근처에서 관찰한 1대대 병사 토마스 H. 하차는 "그들은 그곳에서 죽어가고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비명 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14] 다른 사람들은 일부 병사들이 발포를 멈췄다고 말했다.[20]
갇힌 피난민들은 바리케이드로 시신을 쌓기 시작했고 숨기 위해 땅을 파고들려고 했다.[21] 일부는 첫날 밤에 탈출했지만, 미군은 터널에 탐조등을 비추고 계속 사격했다고, 어머니가 자신과 여동생을 보호하다 돌아가신 정구호는 말했다.[13][22][23] 이튿날, 총격은 가끔 갇힌 피난민이 움직이거나 탈출하려 할 때의 산발적인 사격으로 줄어들었다. 일부는 또한 그 이튿날에 로켓을 발사하거나 폭탄을 투하하기 위해 비행기가 돌아오는 것을 기억한다. 목마름에 시달린 생존자들은 다리 아래로 흐르는 작은 개울에서 피로 가득 찬 물을 마셨다.[12]
살해하는 동안, 2대대는 영동에서 조심스럽게 진격해 온 북한군으로부터 산발적인 포격과 박격포 사격을 받았다. 기밀 해제된 육군 정보 보고서는 학살 셋째 날인 7월 28일 늦게 적 전선이 노근리에서 약 3.22km 이상 떨어져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4] 그날 밤, 7기병 연대는 사단 본부에 "2대대에서 중요한 접촉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라고 전했다. 생존 부대 문서에는 피난민 살해 사건이 보고되지 않았다.[12] 7월 29일 새벽, 7기병 연대가 노근리에서 철수했다.[4] 그날 오후, 북한군 병사들이 터널 밖으로 도착하여 아직 살아있는 사람, 대부분 어린아이 20여 명을 돕고, 그들에게 음식을 주고 마을로 돌려보냈다.[22][25]
3. 2. 피해 규모
2005년 대한민국 정부의 노근리 사건 희생자 명예회복 및 심사위원회는 1년간의 조사를 통해 150명의 사망자, 13명의 실종자, 55명의 부상자(이후 부상으로 사망한 사람 포함)를 공식 확인했다.[13][30] 그러나 위원회는 시간 경과 등의 이유로 많은 희생자 보고가 누락되었다고 밝혔다. 공식 확인된 희생자 중 41%는 15세 미만의 어린이였으며, 70%는 여성, 어린이 또는 61세 이상의 남성이었다.[13][30]노근리 평화 공원과 박물관을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지원 노근리 평화 재단은 2011년에 250~3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31][32]
생존자들은 일반적으로 사망자 수를 400명으로 추산했으며,[28] 여기에는 최초 공습으로 사망한 100명과 다수의 부상자가 포함되었다.[17] 1950년 8월과 9월 발표된 초기 보도에서는 노근리 지역에서 발견된 시신이 약 400구이며, 그중 200구는 터널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했다.[26][27] 2000년 펜타곤 인터뷰에서 제7기병대 참전 용사들은 노근리 사망자 수를 수십 명에서 300명 사이로 추산했다.[13]
3. 3. 사건 은폐와 진상 규명 노력
1950년 8월 말, 북한군이 작성한 문건이 번역되어 주한미군 사령부와 펜타곤에 전달되면서 노근리 양민 학살에 대한 정보가 상부에 보고되었다.[33] 몇 주 뒤, 미군 방첩 사령부의 한국인 요원이 지역 주민들을 통해 이 보고서를 확인했다.[34] 1950년 9월 말, ''뉴욕 타임스'' 기사에 익명의 고위 미군 장교가 7월에 미 육군 연대가 "겁에 질려" "많은 민간인"에게 총격을 가했다고 언급했지만, 당시 미군이 이 사건을 조사했다는 증거는 없었다.[35] [12]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의 공격을 방어하던 유엔군 소속 미국 육군제7기병연대는 충청북도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의 경부선 부근 피난민들 속에 북한군이 섞여 있다고 의심하여 피난민들을 철교 위에 모아 공군기가 기관총 사격을 가하고, 도망치는 사람들을 미군이 쫓아가 사살했다. 이로 인해 약 300명의 한국인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은폐되어 왔으나, 1994년 한국인 생존자가 저서를 출판하고 1999년 AP 통신이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진상 규명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3. 3. 1. 민간 차원의 노력
1960년, 노근리 사건 피해자 정은용은 서울에 있던 주한미군소청사무소에 손해배상과 공개 사과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1] 1994년에는 노근리 미군 민간인 학살 대책위원회가 설립되었고, 미국 정부와 의회, 한국 정부와 국회에 20여 차례 이상 진정서를 제출했다.[1]1994년 4월, 정은용 노근리사건 대책위원장은 책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출판했다.[1] 대책위원회 대변인 정구도는 이 책을 바탕으로 내외신 언론에 노근리 사건을 적극적으로 알렸다.[1] 연합뉴스, 한겨레, AFP, 시사저널 등도 노근리 학살을 보도하면서 진상이 점차 드러났다.[1]
정구도 대변인은 조선인민보 기사,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미군 작전 기록 등 증거를 수집하여 미 제1기병사단이 학살을 일으켰음을 증명하고, 관련 역사학 및 국제법 논문도 발표했다.[1]
관련 서적
- 오련호(著), 오바타 류지/오바타 마사키(訳), 《조선의 학살: 20세기의 야만과 결별하기 위한 현장 보고서》, ISBN 978-4-872335-59-0
- 정은용(著), 이토 마사히코(訳), 《노근리 학살 사건: 그대, 우리의 고통을 아는가》, 수로사, ISBN 978-4902269321
3. 3. 2. 언론 보도와 국제 사회의 관심
1994년 노근리 학살로 가족을 잃은 정은용 노근리사건 대책위원장이 노근리사건을 고발하는 책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출판하였다.[113] 이 책의 출판과 함께 노근리 미군 민간인 학살대책위원회 대변인이자 기획위원인 정구도씨가 국내외 언론기관을 대상으로 노근리사건 홍보를 적극적으로 전개했다.[113] 연합뉴스, 한겨레, AFP, 시사저널 등에서 취재 보도를 하면서 노근리 학살의 진상이 점차 드러나기 시작했다. 정구도 대변인은 진실 규명을 위해 피해자 증언을 채록하고, 노근리 학살이 있었던 기간의 조선인민보 신문 기사와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소장된 미군 작전 기록을 수집하여, 노근리에 주둔했던 미 제1기병사단이 노근리 학살을 일으켰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확보했다. 또한 노근리 사건에 대한 역사학 논문과 국제법 논문도 발표하였다.[113]노근리 미군 민간인 학살사건 대책위원회의 정구도 대변인이 중심이 되어 4년간 끈질기게 노근리 사건을 홍보한 결과, 문화방송의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미국 CNN 방송 등에서 보도되면서 사건이 점차 알려졌다.[113] 그 결과 노근리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된 AP통신 취재팀이 1998년 4월에 취재를 시작했고,[113] 최상훈 기자, 마샤 멘도사(Martha Mendoza) 기자 등이 탐사보도를 통해 1999년 9월, 미 제1기병사단이 "미군의 방어선을 넘어서는 자들은 적이므로 사살하라. 여성과 어린이는 재량에 맡긴다."라는 지시에 따라 노근리 피난민들을 살상한 전쟁범죄라고 보도하였다.[113]
1999년 10월, AP 통신이 노근리 난민 학살을 확인하는 기사를 보도한 후, 생존자 위원회 대표 정은용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진실하고 신속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서를 읽었다.

최상훈, 찰스 J. 핸리, 마사 멘도사, 랜디 허쉬프트로 구성된 AP 팀은 노근리 보도로 2000년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을 수상했으며, 이 외에도 10개의 다른 주요 국내외 저널리즘 상을 받았다.[12]
3. 3. 3. 한국 정부의 특별법 제정
1994년 한국인 생존자가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에 대한 저서를 출판했고, 1999년 9월 9일 AP 통신이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오랫동안 은폐되었던 진실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 29일 주한 미군이 현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2004년에는 노근리 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했다.4. 미군과 한국 정부의 조사
1999년 9월 30일, AP 통신의 보도 발표 후 몇 시간 만에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육군 장관 루이스 칼데라에게 조사를 명령했다.[59] 한국 정부 역시 조사를 명령했으며, 양측 조사팀이 공동으로 문서 검색과 증인 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했으나 미국 측은 이를 거부했다.[15][60]
이후 15개월 동안 미국 육군 감찰관실과 한국 국방부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관들은 약 200명의 미국 참전 용사와 75명의 한국인으로부터 진술을 받거나 진술서를 확보했다. 육군 연구원들은 100만 페이지에 달하는 미국의 기록 보관 문서를 검토했다.[3] 2001년 1월 11일, 양국 정부는 각각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 육군은 보고서를 통해 노근리에서 "알 수 없는 수"의 한국인 피난민이 살해되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민간인에게 사격하라는 명령은 없었으며, 사격은 피난민들로부터의 적대적인 사격의 결과이거나 그들을 통제하기 위한 사격이었다고 주장했다.[3] 또한, 병사들이 피난민을 멈추라는 제8군단의 명령을 오해하여 사살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3][1] 그러면서도, 이 사건을 "의도적인 살인이 아닌 전쟁에 내재된 불행한 비극"으로 묘사했다.[3]
한국 조사단은 노근리에서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보여주는 문서는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7기병대와 미 공군 작전에 관한 미국 측 문서에서 공백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7기병대 일지 등 1950년 7월 노근리 명령을 담고 있었을 통신 기록이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설명 없이 사라졌다는 점을 강조했다.[34][62]
한국 보고서는 5명의 전직 미 공군 조종사가 미국 심문관에게 이 기간 동안 민간인을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으며, 7기병대 참전 용사 17명이 노근리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명령이 있었다고 증언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은 참전 용사 중 2명이 대대 통신 전문가였으며, 따라서 어떤 명령이 전달되었는지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고 지적했다.[1][34] 한국 보고서는 7월 26일 피난민을 막으라는 제8군 명령을 인용하며 7기병대가 "접근하는 피난민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34]
한국 조사단은 미국 보고서가 제시한 피난민 중 총격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3] 생존자 증언과 당시 문서는 노근리에 침투자가 있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침투자는 7기병대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사살한 적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4. 1. 미군의 조사
1999년 9월 30일, AP 통신의 보도 발표 후 몇 시간 만에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육군 장관 루이스 칼데라에게 조사를 시작하도록 명령했다.[59] 서울 정부 역시 조사를 명령했으며, 양측 조사팀이 공동으로 문서 검색과 증인 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했으나 미국 측은 이를 거부했다.[15][60]이후 15개월 동안 미국 육군 감찰관실과 서울 국방부에서 진행된 조사에서 조사관들은 약 200명의 미국 참전 용사와 75명의 한국인으로부터 진술을 받았거나 진술서를 확보했다. 육군 연구원들은 100만 페이지에 달하는 미국의 기록 보관 문서를 검토했다.[3] 2001년 1월 11일, 양국 정부는 각각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수년간 의혹을 부인해 온 미국 육군은 보고서를 통해 노근리에서 "알 수 없는 수"의 한국인 피난민을 "소화기 사격, 포격 및 박격포 사격, 그리고 기총 소사"로 살해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민간인에게 사격하라는 명령은 없었으며, 사격은 피난민들로부터의 적대적인 사격의 결과이거나 그들을 통제하기 위한 사격이었다고 주장했다.[3] 또 다른 부분에서는, 병사들이 피난민을 멈추라는 제8군단의 명령을 오해하여 사살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고 암시했다.[3][1] 동시에, 사망을 "의도적인 살인이 아닌 전쟁에 내재된 불행한 비극"으로 묘사했다.[3] 육군 보고서는 노근리에서 사격 명령을 받았다고 증언한 병사들의 증언을 일축했는데, 그 이유는 명령의 문구, 명령을 내린 장교의 이름, 또는 직접 명령을 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3]
보고서는 살해가 끝난 지 8일 후에 촬영되었다는 해당 지역의 항공 정찰 사진을 인용하며, 노근리에서 248명이 사망, 실종, 부상당했다는 한국 정부의 초기, 검증되지 않은 추정치를 의문시하며, 사진에 "유해나 매장된 무덤의 흔적이 없다"고 밝혔다.[3] 이 2001년 보고서가 나온 지 4년 후, 서울 정부의 진상 규명 위원회는 최소 218명의 희생자 신원을 확인했다.[30]
4. 2. 한국 정부의 조사
1999년 9월 30일, AP 통신의 보도가 발표된 후 몇 시간 만에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육군 장관 루이스 칼데라에게 조사를 지시했다.[59] 한국 정부도 조사를 명령했으며, 양측 조사팀이 공동으로 문서 검색과 증인 조사를 할 것을 제안했지만 미국 측은 이를 거부했다.[15][60]이후 15개월 동안 미국 육군 감찰관실과 한국 국방부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관들은 약 200명의 미국 참전 용사와 75명의 한국인으로부터 진술을 받거나 진술서를 확보했다. 육군 연구원들은 100만 페이지에 달하는 미국의 기록 보관 문서를 검토했다.[3] 조사 마지막 몇 주 동안에는 한국 측과 미국 측 팀 사이에 심각한 이견이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13][61] 2001년 1월 11일, 양국 정부는 각각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 조사단은 보고서에서 노근리에서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보여주는 문서는 없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7기병대와 미 공군 작전에 관한 미국 측 문서에서 공백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7기병대 일지, 즉 1950년 7월 노근리 명령을 담고 있었을 통신 기록이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설명 없이 사라졌다는 점을 강조했다.[34][62]
한국 보고서는 5명의 전직 공군 조종사가 미국 심문관에게 이 기간 동안 민간인을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으며, 7기병대 참전 용사 17명이 노근리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명령이 있었다고 증언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은 참전 용사 중 2명이 대대 통신 전문가 (레빈과 크럼)였으며, 따라서 어떤 명령이 전달되었는지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고 지적했다.[1][34] 한국 보고서는 7월 26일 피난민을 막으라는 제8군 명령을 인용하며 7기병대가 "접근하는 피난민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34] 오영호 당시 대한민국 국가안보국장은 "우리는 사격 명령이 있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63] 보고서와 함께 발표된 미한 공동의 "상호 이해 성명"은 노근리에서 사격 명령이 없었다는 미국 보고서의 주장을 반복하지 않았다.[64]
한국 조사단은 미국 보고서가 제시한 피난민 중의 총격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3] 생존자 증언과 당시 문서는 노근리에 침투자가 있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침투자는 7기병대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사살한 적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노근리 생존자들은 이를 부인했으며, 미국 조사팀이 인터뷰한 52명의 대대 참전 용사 중 단 3명만이 적대적인 사격에 대해 언급했으며, 그 내용도 일관성이 없었다.[3][24]
미국 보고서에서 사망자 수가 더 적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힌 항공 사진과 관련하여, 한국 조사단은 생존자와 지역 주민의 증언을 바탕으로 최소 62구의 시신이 살해 직후 며칠 안에 친척들에 의해 수습되었거나 병사들이 버린 참호에 묻혔으며, 다른 시신들은 얇은 흙에 덮여 항공 카메라의 시야에서 벗어난 채 한 굴다리 터널 안에 남아 나중에 집단 매장될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 군사 전문가들은 미국 정찰 사진에 의문을 제기하며, 노근리 사진이 필름 롤에 끼워져 있어 1950년 8월 6일, 즉 살해 8일 후라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불규칙성을 지적했다.[3][34]
4. 3. 조사 결과에 대한 상반된 평가
미국과 한국 정부는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조사 결과를 두고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1999년 AP 통신 보도 이후, 윌리엄 코헨 미국 국방장관은 루이스 칼데라 육군 장관에게 조사를 지시했고, 한국 정부도 조사에 착수했다. 양측은 공동 조사를 제안했지만,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15][60]15개월간의 조사 후, 2001년 1월 11일 양국은 각각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 육군은 노근리에서 "알 수 없는 수"의 한국인이 사망했음을 인정했지만, 민간인 사격 명령은 없었고, 이는 적대적 사격에 대한 대응이거나 민간인 통제를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3] 또한, 병사들이 피난민을 멈추라는 제8군단의 명령을 오해했을 수 있다고 암시했다.[3][1] 그러나, 사망을 "의도적인 살인이 아닌 전쟁에 내재된 불행한 비극"으로 묘사했다.[3]
한국 조사단은 구체적인 사격 명령 문서는 없다고 인정했지만, 미군 문서의 공백, 특히 7기병대 통신 기록이 사라진 점을 강조했다.[34][62] 또한, 미 공군 조종사 5명과 7기병대 참전 용사 17명이 민간인 사격 명령을 받았다고 증언했다고 밝혔다.[1][34] 한국 측은 1950년 7월 26일 피난민을 막으라는 제8군 명령을 언급하며, 7기병대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4]
미국 보고서가 제시한 피난민 중 총격 가능성에 대해, 한국 조사단은 생존자 증언과 배치되는 점을 들어 의문을 제기했다.[13] 또한, 미국 보고서가 제시한 항공 사진에 대해서도, 시신 수습 정황과 사진 촬영 시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반박했다.[3][34]
노근리 생존자 위원회는 미국 보고서를 "덮어씌우기"라고 비판했다.[71] 정은용 위원장은 "짐승처럼 사냥당한 400명의 무고한 사람들"에 대한 학살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생존자들은 살인이 "고의적인 것이 아니었다"는 주장을 거부했다.[72]
미국 조사에 참여한 외부 자문위원들도 한국 측 입장에 동의했다. 피트 매클로스키 전 하원의원은 "육군 보고서가 덮어씌우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5][74] 버나드 E. 트레이너 장군은 살인이 정당하지 않으며 "미국 지휘부가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67]
이후 언론과 학자들은 미국 보고서가 주요 기밀 해제 문서를 누락하거나 불완전하게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 공군이 육군 요청으로 난민에게 사격했다는 내용의 메모를 누락한 점,[3][76][77][75] 노근리 인근 난민 그룹에 대한 공습 기록을 공개하지 않은 점,[78][48] 전쟁 지역 민간인을 비우호적으로 간주하고 사격하라는 지침을 다루지 않은 점 등이 지적되었다.[3][1][76][43]
2005년, 역사학자 사르 콘웨이-란츠는 존 J. 무치오 당시 주한 미국 대사가 노근리 학살 당일, 미군이 한국인 난민 그룹에 사격하는 정책을 채택했다고 국무부에 통보한 문서를 발견했다.[1][83][79][80] 펜타곤은 이 문서를 의도적으로 누락했음을 인정했다.[84][85][86]
5. 증언 및 추가 증거
1998년 4월, 연합 통신(AP)은 생존자들의 주장을 거부하는 기사를 보도했지만, 그해 초 노근리 의혹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관련된 육군 부대를 식별하고 전직 군인들을 추적하려 했다.[12] 1999년 9월 29일, AP는 노근리 생존자 24명과 제7기병연대 참전 용사 12명의 증언을 바탕으로 학살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제7기병대 기관총 사수 노먼 팅클러는 "우리는 그들을 완전히 전멸시켰다"라고 말했다.[43]
AP는 미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공개된 군사 문서를 조사하여 1950년 7월 말 최전선 부대가 진지에 접근하는 한국 난민을 사살하라는 지시가 기록되어 있음을 발견했다.[43] 제8기병연대의 연락 장교는 제1기병사단 본부로부터 미군 전선을 넘으려는 난민에게 사격을 가하라는 지시를 그의 부대에 전달했다. 인접한 제25보병사단의 윌리엄 B. 킨 소장은 경찰이 제거해야 할 지역에서 발견된 모든 민간인을 적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고 조언했으며, 그의 참모들은 이 명령을 "비우호적으로 간주하고 사살한다"고 전달했다.[43] 제8군은 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날, 모든 부대에 난민의 선 통과를 막으라고 명령했다.[17][44]
2000년 6월, CBS 뉴스는 1950년 7월의 미국 공군 메모를 보도했는데, 여기에는 한국 작전 책임자가 공군이 미군 진지에 접근하는 난민 대열을 기관총 공격하고 있다고 밝혔다.[46][47] 7월 25일에 작성된 이 메모는 미 육군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요청했으며 "현재까지 우리는 육군의 요청에 따라 행동해 왔다"고 밝혔다.[48] 이후 공개된 미 해군 문서에는 항공모함 조종사들이 육군이 한국에서 8명 이상의 그룹을 공격하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1][49] 한국 학자 김태우는 1950년 공군 임무 보고서를 검토한 후 "대부분의 전투기 폭격기 조종사들은 흰 옷을 입은 한국 민간인을 적군으로 간주했다"라고 결론 내렸다.[48]
대한민국 조사단은 보고서에서 노근리에서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보여주는 문서는 없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7기병대와 미 공군 작전에 관한 미국 측 문서에서 나타나는 공백을 지적했다. 1950년 7월 노근리 명령을 담고 있었을 7기병대 통신 기록은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설명 없이 사라졌다.[34][62]
대한민국 보고서는 전직 공군 조종사 5명이 미국 심문관에게 이 기간 동안 민간인을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으며, 7기병대 참전 용사 17명이 노근리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명령이 있었다고 믿는다고 증언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은 참전 용사 중 2명이 대대 통신 전문가 (레빈과 크럼)였으며, 어떤 명령이 전달되었는지 아는 데 특히 유리한 입장이었다고 지적했다.[1][34] 한국 보고서는 7월 26일 피난민을 막으라는 제8군 명령을 인용하며 7기병대가 "접근하는 피난민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34]
2005년, 미국의 역사학자 사르 콘웨이-란츠는 1950년 주한 미국 대사 존 J. 무치오가 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날, 침투자를 두려워한 미군이 경고 사격에도 불구하고 미군에게 접근하는 한국인 난민 그룹에 사격하는 정책을 채택했다고 국무부에 통보한 기밀 해제 문서를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발견했다고 보고했다.[1][83][79][80] 대한민국 정부의 압박을 받은 펜타곤은 결국 무치오 서한을 2001년 보고서에서 의도적으로 누락했음을 인정했다.[84][85][86]
5. 1. 생존자들의 증언
> 소대장은 미친 듯이 소리를 질렀습니다. "총을 쏴라. 모두 쏴 죽여라."고요. 저는 총을 겨누고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린이들이 있었습니다. "목표물이 무엇이든 상관없다. 어린이든, 어른이든, 장애인이든."[115]> — 제7기병연대 참전 군인, 조지 얼리
> 할머니: 왜 눈이 그렇게 되신 거예요?
생존자 할머니(당시 11세): 미군의 폭격으로 눈을 잃었지. 거울을 본 적이 없어.[116]
다른 생존자는 미군의 폭격으로 얼굴의 반을 잃어 바깥출입을 한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미국 지원을 받는 전후 독재 정권 동안, 노근리 생존자들은 공식적인 보복을 두려워하여 공개적으로 불만을 제기하지 못했다.[36] 생존자 양해찬은 대한민국 경찰로부터 학살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을 중단하라는 경고를 받았다고 말했다.[37]
5. 2. 기밀 해제된 문서
1998년 4월, 연합 통신(AP)은 생존자들의 주장을 거부하는 기사를 보도했지만, 그해 초 노근리 의혹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관련된 육군 부대를 식별하고 전직 군인들을 추적하려 했다.[12] 1999년 9월 29일, AP는 24명의 노근리 생존자들과 12명의 제7기병연대 참전 용사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학살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제7기병대 기관총 사수 노먼 팅클러는 "우리는 그들을 완전히 전멸시켰다"라고 말했다.[43]AP는 미국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공개된 군사 문서를 조사한 결과, 1950년 7월 말 최전선 부대가 진지에 접근하는 한국 난민을 사살하라는 지시가 기록되어 있음을 발견했다.[43] 제8기병연대의 연락 장교는 제1기병사단 본부로부터 미군 전선을 넘으려는 난민에게 사격을 가하라는 지시를 그의 부대에 전달했다. 인접한 제25보병사단의 윌리엄 B. 킨 소장은 경찰이 제거해야 할 지역에서 발견된 모든 민간인을 적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고 조언했으며, 그의 참모들은 이 명령을 "비우호적으로 간주하고 사살한다"고 전달했다.[43] 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날, 제8군은 모든 부대에 난민의 선 통과를 막으라고 명령했다.[17][44]
2000년 6월, CBS 뉴스는 1950년 7월의 미국 공군 메모를 보도했는데, 이 메모에는 한국 작전 책임자가 공군이 미군 진지에 접근하는 난민 대열을 기관총 공격하고 있다고 밝혔다.[46][47] 7월 25일에 작성된 이 메모는 미 육군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요청했으며 "현재까지 우리는 육군의 요청에 따라 행동해 왔다"고 밝혔다.[48] 나중에 미 해군 문서가 공개되었는데, 여기에는 항공모함에서 온 조종사들이 육군이 한국에서 8명 이상의 그룹을 공격하라고 말했다고 보고했다.[1][49] 한국 학자 김태우는 1950년 공군 임무 보고서를 검토한 후 "대부분의 전투기 폭격기 조종사들은 흰 옷을 입은 한국 민간인을 적군으로 간주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48]
대한민국 조사단은 보고서에서 노근리에서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구체적인 명령을 보여주는 문서는 없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7기병대와 미 공군 작전에 관한 미국 측 문서에서 나타나는 공백을 지적했다. 7기병대 일지, 즉 통신 기록은 1950년 7월의 노근리 명령을 담고 있었을 기록인데,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설명 없이 사라졌다.[34][62]
대한민국 보고서는 5명의 전직 공군 조종사가 미국 심문관에게 이 기간 동안 민간인을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했으며, 7기병대 참전 용사 17명이 노근리 피난민을 사살하라는 명령이 있었다고 믿는다고 증언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은 참전 용사 중 2명이 대대 통신 전문가 (레빈과 크럼)였으며, 따라서 어떤 명령이 전달되었는지 아는 데 특히 유리한 입장이었다고 지적했다.[1][34] 한국 보고서는 7월 26일 피난민을 막으라는 제8군 명령을 인용하며 7기병대가 "접근하는 피난민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34]
2005년, 미국의 역사학자 사르 콘웨이-란츠는 1950년 주한 미국 대사인 존 J. 무치오가 노근리 학살이 시작된 날, 침투자를 두려워한 미군이 경고 사격에도 불구하고 미군에게 접근하는 한국인 난민 그룹에 사격하는 정책을 채택했다고 국무부에 통보한 기밀 해제 문서를 국립 문서 보관소에서 발견했다고 보고했다.[1][83][79][80] 대한민국 정부의 압박을 받은 펜타곤은 결국 무치오 서한을 2001년 보고서에서 의도적으로 누락했음을 인정했다.[84][85][86]
6. 법적, 윤리적 쟁점
노근리 사건은 전쟁 범죄 해당 여부와 미국의 책임 문제 등 여러 법적, 윤리적 쟁점을 안고 있다. 특히, 지휘 책임 원칙에 따라 미군이 민간인 학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2001년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은 "명령 계통에서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만큼 충분히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불법 행위를 했다는 증거가 명확하지 않았다"며 미국의 과실을 부인했다.[76] 그러나 생존자들을 대리하는 미국 변호사들은 "노인, 여성,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난민 학살은 그 자체로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미국이 책임을 지고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7]
2005년 대한민국 정부 조사 위원회는 "미국은 노근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13] 법학자 백태웅은 1907년 헤이그 협약이 동맹국 군대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을 조약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비전투원 대량 살상은 "관습 국제법"에 따라 여전히 범죄로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37]
미국 군법 전문가들은 사건 발생 반세기 후, 당시 관련 미국 군법에 따라 전직 군인들을 기소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88]
6. 1. 전쟁 범죄 해당 여부
Bill Clinton영어 당시 미국 대통령은 2001년 1월, "명령 계통에서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만큼 충분히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불법 행위를 했다는 증거가 명확하지 않았다"며 미국 측의 과실을 부인했다.[76] 그러나 노근리 생존자들을 대리하는 미국 변호사들은 지휘 책임 원칙에 따라 "노인, 여성,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난민 학살은 그 자체로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미국은 책임을 지고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군의 자체 조사가 "피해자를 자행한 사람의 무제한적인 재량에 따라 집행을 허용하는 것"은 피해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87]2005년 대한민국 정부의 조사 위원회는 "미국은 노근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결론 내리고, 6건의 한국 법학 연구를 인용하여 노근리 사건이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13]
법학자 백태웅은 1907년 헤이그 협약이 노근리의 한국인과 같이 동맹국의 군대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을 조약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비전투원 대량 살상은 "관습 국제법"에 따라 여전히 범죄로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37] 1950년 한국으로 파견된 미군 병사들에게는 헤이그 조약이 민간인 공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소책자가 배포되었다.[12]
미국 군법 전문가들은 노근리 사건 발생 반세기 후, 1950년 당시 관련 미국 군법인 군사법 조항에 따라 전직 군인들을 기소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88]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데라 육군 장관은 조사 초기에 기소를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으며,[89] 이 발언은 생존자들이 나중에 제7기병대 참전 용사들의 증언을 막았을 수 있다고 불만을 제기한 바 있다.[90]
6. 2. 미국의 책임 문제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50년 7월 말 노근리에서 한국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은 것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잘못된 일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은 사과와 개별 배상은 제공하지 않았고, 400만달러 규모의 기념관 건립과 장학 기금 마련을 제안했다.[65][66][67][68][69] 생존자들은 기념관이 노근리 희생자뿐만 아니라 전쟁 중 사망한 모든 한국 민간인을 위한 것이라는 이유로 이 계획을 거부했다.[70]2001년 1월, 빌 클린턴은 "명령 계통에서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만큼 충분히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불법 행위를 했다는 증거가 명확하지 않았다"며 미국의 과실을 부인했다.[76] 노근리 생존자들의 변호사들은 "노인, 여성,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난민 학살은 그 자체로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미국은 지휘 책임 원칙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하고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7] 또한, 전선에서 민간인을 사살하라는 명령이 많았고, 미군의 자체 조사는 피해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87]
2005년, 대한민국 정부의 조사 위원회는 "미국은 노근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결론 내리고, 6건의 한국 법학 연구를 인용하여 노근리 사건이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13]
법학자 백태웅은 1907년 헤이그 협약이 노근리의 한국인과 같이 동맹국 군대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을 조약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비전투원 대량 살상은 "관습 국제법"에 따라 여전히 범죄로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37] 1950년 한국에 파견된 미군 병사들에게는 헤이그 조약이 민간인 공격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소책자가 배포되었다.[12]
미국 군법 전문가들은 1950년 당시 관련 미국 군법인 군사법 조항에 따라 전직 군인들을 기소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88]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데라 육군 장관은 조사 초기에 기소를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으며,[89] 이는 생존자들이 제7기병대 참전 용사들의 증언을 막았을 수 있다고 불만을 제기하게 했다.[90]
7. 이후의 경과
2003년 6월 30일, 경부선 노근리 쌍굴다리는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9호로 지정되었고, 충청북도는 2008년부터 역사공원 건립을 시작하였다.[114] 2010년 6월까지 191억 원을 들여 조성된 역사공원에는 위령탑과 역사 평화 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또한, 숙박 시설을 갖춘 문화의 집도 건립되어 청소년 인권, 평화,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될 계획이었다.[114] 유가족들은 매년 노근리 학살이 일어난 쌍굴에서 희생자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대한민국 국회는 2004년 "노근리 사건 희생자 명예 회복 특별법"을 채택하여 위원회 설립, 의료 보조금 제공, 기념 공원 조성 등을 추진했다. 1700만달러의 정부 기금으로 건설된 13ha 규모의 노근리 평화공원은 2011년 10월에 개장했다.[13][98] 2009년에는 묘역이 조성되어 일부 희생자들의 유해가 이장되었다.[99] 공공 기금으로 운영되는 노근리 국제 평화 재단은 매년 평화 컨퍼런스, 노근리 평화상, 국제 대학생을 위한 여름 평화 캠프를 공원에서 후원한다.[90]
빌 클린턴 대통령은 노근리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지만, 미국은 공식 사과와 개별 배상은 제공하지 않았다.[65][66][67][68] 대신 400만달러 규모의 기념관 건립과 장학 기금 마련을 제안했으나, 생존자들은 기념관이 모든 한국 민간인 희생자를 위한 것이라는 이유로 거부했다.[69][70]
노근리 사건은 소설, 만화,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재현되었다. 정은용의 책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 박건웅, 정은용 작가의 만화 《노근리 이야기》, 영화 《작은 연못》 등이 대표적이다.[101][117][100]
7. 1.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
2005년, 대한민국 국회는 20세기 남한에서 발생한 인권 침해 사건들을 조사하기 위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원회)를 설립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미군에 의해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로 묘사된 200건 이상의 사건을 접수했다.[103][104]2009년까지 위원회는 기밀 해제된 미군 문서와 생존자들의 증언을 대조하여, 미국이 수백 명의 한국 민간인을 부당하게 살해한 8건의 대표적인 사례를 확인했다. 여기에는 네이팜탄 폭탄 공격을 받은 동굴에 몰려 있던 난민들을 포함해, 미 해군 군함에 의해 고의로 포격을 받은 해안 난민촌 사건도 포함되었다.[105][106][107][108]
위원회는 미군이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구분하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무차별 공격을 했다고 주장했다.[107] 또한, 한국 정부가 전쟁 발발 당시 보도연맹 학살에서 수천 명(아마 10만~20만 명)의 좌익 혐의자를 즉결 처형했으며, 때로는 미 육군 장교들이 현장에 있었고 사진을 찍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106]
한국 전쟁은 북한과 남한을 포함해 민간인 사망자 비율이 가장 높았던 전쟁 중 하나로 여겨진다.[48] 여기에는 미 공군의 한국 전역 폭격으로 사망한 비전투원, 그리고 침략한 북한군에 의해 즉결 처형된 한국 민간인들이 포함된다.[103] 위원회는 대한민국 정부가 미군에 의한 대규모 민간인 학살에 대한 배상을 위해 미국과 협상할 것을 권고했으나,[107] 이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9년 노근리 사건 조사가 시작될 때, 미국 국방부 장관과 국무부 차관보는 미국이 유사한 한국 전쟁 학살 사건에 대해 조사할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지만,[109][110] 1999~2001년 조사가 미국이 실시한 마지막 조사였다.[24]
7. 2. 추모 사업 및 기념 시설 건립
경부선 노근리 쌍굴다리는 2003년 6월 30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9호로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는 2008년부터 역사공원 건립을 시작하였다.[114] 2010년 6월까지 191억 원을 들여 쌍굴다리 앞 옛 노송초등학교 터를 포함한 132240m2에 조성된 역사공원에는 위령탑과 역사 평화 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또한, 숙박 시설을 갖춘 문화의 집도 건립되어 청소년 인권, 평화,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될 계획이었다.[114]유가족들은 매년 미군의 폭력으로 죽은 민간인들의 한을 위로하는 제사를 노근리 학살이 일어난 쌍굴에서 지내고 있다. 정은용 노근리 사건 대책위원장은 2000년 제사에서 추모사를 발표하였다.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50년 7월 말 노근리에서 한국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은 것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미국은 사과와 개별적인 배상은 제공하지 않았다.[65][66][67][68] 대신 미국은 400만달러 규모의 기념관 건립과 장학 기금 마련을 제안했다.[69] 그러나 생존자들은 기념관이 노근리 희생자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사망한 모든 한국 민간인을 위한 것이라는 이유로 이 계획을 거부했다.[70]
생존자들은 국제 사법 재판소와 헤이그의 유엔 인권 포럼에 제소하려 했지만 거부당했다.[90] 대한민국 국방부는 재조사가 한미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13]
대한민국 국회는 2004년 2월 9일 "노근리 사건 희생자 명예 회복 특별법"을 채택했다. 이 법은 사망자 및 부상자의 신원을 조사하고 인증하는 위원회를 설립하고, 생존 부상자에게 의료 보조금을 제공하며, 노근리 현장에 기념 공원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700만달러의 정부 기금으로 건설된 13ha 규모의 노근리 평화공원은 2011년 10월에 개장했다.[13][98] 2009년, 영동군은 인근에 묘역을 조성하여 일부 희생자들의 유해를 가족 묘역에서 이장했다.[99] 공공 기금으로 운영되는 노근리 국제 평화 재단은 매년 평화 컨퍼런스, 노근리 평화상, 국제 대학생을 위한 여름 평화 캠프를 공원에서 후원한다.[90]
7. 3. 문화적 재현
노근리 사건은 소설, 만화,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재현되었다.1994년에는 노근리 사건 피해자이자 대책위원장이었던 정은용이 사건을 고발하는 책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출판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박건웅 작가와 정은용 작가가 이 책을 바탕으로 2권짜리 만화 《노근리 이야기》를 출판했다. 이 만화는 수천 개의 그림을 통해 학살 사건과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을 생생하게 그려냈으며, 유럽에서도 번역 출판되었다.[101]
2010년에는 노근리 사건을 다룬 영화 《작은 연못》이 개봉되었다.[117] 이 영화는 이상우가 감독하고 송강호, 문소리 등 유명 배우들이 재능 기부 형식으로 참여하여 제작되었다.[100] 영화는 한국 내 상업적 개봉뿐만 아니라 뉴욕, 런던 등 국제 영화제에서도 상영되어 국제적인 관심을 받았다.[100]
이 외에도 노근리 사건은 미국과 영국의 소설에서도 주요 또는 부차적인 주제로 다루어졌다.[102]
8.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한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특히 반미 감정과 역사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은폐되었으나, 1994년 생존자의 증언과 1999년 AP 통신의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주한 미군의 현지 조사와 2004년 노근리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2005년에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설립되어 노근리 사건을 포함한 한국 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을 조사했다. 위원회는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 200여 건을 접수하고, 이 중 8건의 대표적인 사례를 확인했다. 위원회는 미군이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구분하지 않고 무차별 공격을 했다고 주장하며, 대한민국 정부에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에 대한 배상을 요구할 것을 권고했으나, 이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07]
8. 1. 반미 감정과의 관계
한국 전쟁 중 북한군의 공격을 방어하던 유엔군 소속 미국 육군 제7기병연대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의 경부선 부근에 있던 한국인 피난민들 속에 북한군이 섞여 있다고 의심하여 피난민들을 철교 위에 모아 공군기가 기관총 사격을 가하고, 도망치는 사람들을 미군이 쫓아가 사살하여 약 300명의 한국인 민간인이 학살당했다.이 사건은 오랫동안 은폐되어 왔으나, 1994년에 한국인 생존자가 저서를 출판했고, 1999년 9월 9일 AP 통신이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같은 해 10월 29일 주한 미군이 현지 조사를 실시했으며, 2004년에는 노근리 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했다. 이 사건은 한국에서 반미 감정이 고조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8. 2. 역사적 교훈과 과제
2005년, 대한민국 국회는 노근리 사건을 포함한 20세기 남한의 인권 침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설립했다.[103] 위원회는 "미군에 의해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로 묘사된 200건 이상의 사건을 접수했다.[103][104]2009년까지 위원회는 기밀 해제된 미군 문서와 생존자들의 증언을 대조하여, 네이팜탄 폭탄 공격을 받은 동굴에 몰려 있던 난민들을 포함해 미국이 수백 명의 한국 민간인을 부당하게 살해한 8건의 대표적인 사례를 확인했다. 또한 미 해군 군함에 의해 고의로 포격을 받은 해안 난민촌 사건도 포함되었다.[105][106][107][108]
위원회는 미군이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구분하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무차별 공격을 했다고 주장했다.[107] 위원회의 가장 중요한 조사 결과는, 한국 정부가 전쟁 발발 당시 보도연맹 학살에서 수천 명(아마 10만~20만 명)의 좌익 혐의자를 즉결 처형했으며, 때로는 미 육군 장교들이 현장에 있었고 사진을 찍었다는 사실 확인이었다.[106]
한국 전쟁은 북한과 남한을 포함해 사망자 비율이 민간인에게 가장 치명적이었던 전쟁으로 여겨진다.[48] 여기에는 광범위한 미 공군의 한국 전역 폭격으로 사망한 비전투원, 그리고 침략한 북한군에 의해 즉결 처형된 한국 민간인들이 포함된다.[103] 위원회는 대한민국 정부가 미군에 의한 대규모 민간인 학살에 대한 배상을 위해 미국과 협상할 것을 권고했다.[107] 그러나 이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9년 노근리 사건 조사가 시작될 때, 미국 국방부 장관과 국무부 차관보는 미국이 드러난 유사한 한국 전쟁 학살 사건에 대해 조사할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지만,[109][110] 1999~2001년 조사가 미국이 실시한 마지막 조사였다.[24]
참조
[1]
서적
Collateral damage: Americans, noncombatant immunity, and atrocity after World War II
Routledge
[2]
웹사이트
Korean War
https://www.history.[...]
2022-05-11
[3]
보고서
No Gun Ri Review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2001-01-01
[4]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June–November 1950)
http://www.history.a[...]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5]
뉴스
Kill 'em All: The American Military in Korea
https://www.bbc.co.u[...]
2011-02-17
[6]
학술지
Occurrence at Nogun-ri Bridge
2001-12-01
[7]
뉴스
Kill 'em All: The American Military in Korea
https://www.bbc.co.u[...]
2011-02-17
[8]
서적
Embassy at Wa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서적
Tail of the Paper Tiger
The Caxton Printers, Ltd.
[10]
문서
The 2nd Battalion, 7th Cavalry Regiment, 1st Cavalry Division, Eighth U.S. Army, was composed of E, F, G, and H Companies
[11]
서적
Of Garryowen in Glory: The History of the 7th U.S. Cavalry
The Turnpike Press
[12]
서적
The Bridge at No Gun Ri: A Hidden Nightmare from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13]
서적
No Gun Ri Incident Victim Review Repor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4]
Youtube
The Massacre of No Gun Ri
https://www.youtube.[...]
2007-03-19
[15]
방송
No Gun Ri Still Lives On: The Truth Behind That Day
2009-09-01
[16]
뉴스
U.S., S.Korea gingerly probe the past
https://www.washingt[...]
1999-10-27
[17]
뉴스
War's hidden chapter: Ex-GIs tell of killing Korean refugees
1999-09-29
[18]
뉴스
Ex-GIs: U.S. troops in Korea War had orders to shoot civilians
2000-11-21
[19]
Youtube
Kill 'Em All: American War Crimes in Korea
https://www.youtube.[...]
2002-02-01
[20]
잡지
The Bridge at No Gun Ri
1999-10-11
[21]
Youtube
Kill 'Em All: American War Crimes in Korea
https://www.youtube.[...]
2002-02-01
[22]
뉴스
I Still Hear Screams
http://www.newsweek.[...]
1999-10-10
[23]
뉴스
No Gun Ri Still Lives On: The Truth Behind That Day
2009-09-01
[24]
서적
Truth and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 Betwee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Korean Wars
Routledge
[25]
서적
Embattled Memories: Contested Meanings in Korean War Memorials
University of Nevada Press
[26]
뉴스
400 Innocent Residents Massacred in Bombing and Strafing
1950-08-19
[27]
뉴스
(Headline unavailable)
1950-09-07
[28]
뉴스
Koreans Give Horrifying Accounts of Alleged Attack
1999-11-17
[29]
뉴스
1950 'shoot refugees' letter was known to No Gun Ri inquiry, but went undisclosed
2007-04-13
[30]
뉴스
No Gun Ri victims officially recognized: 218 people
http://news.naver.co[...]
2005-05-23
[31]
뉴스
노근리재단, 과거사 특별법 제정 세미나 개최
http://news.naver.co[...]
2012-10-15
[32]
학술지
In the Face of American Amnesia, The Grim Truths of No Gun Ri Find a Home
https://apjjf.org/20[...]
2015-03-09
[33]
뉴스
Captured North Korean document describes mass killings by U.S. troops
2000-06-15
[34]
보고서
The Report of the Findings on the No Gun Ri Incident
Ministry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2001-01-01
[35]
뉴스
Stranded Enemy Soldiers Merge With Refugee Crowds in Korea
https://query.nytime[...]
1950-09-30
[36]
서적
The Unending Korean War: A Social History
Tamal Vista Publications
[37]
논문
A War Crime against an Ally's Civilians: The No Gun Ri Massacre
http://scholarship.l[...]
2015-06-16
[38]
뉴스
Chung Eun-yong, Who Helped Expose U.S. Killings of Koreans, Dies at 91
https://www.nytimes.[...]
2014-08-22
[39]
뉴스
South Korean who forced US to admit massacre has died
http://bigstory.ap.o[...]
2014-08-06
[40]
서적
Do You Know Our Pain?
Podobat Publishing Co.
[41]
서적
Crimes of War: Guilt and Denial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New Press
[42]
서적
Into the Buzzsaw: Leading Journalists Expose the Myth of a Free Press
https://archive.org/[...]
Prometheus Books
[43]
문서
The directives
[44]
웹사이트
File:No Gun Ri 07 - Eighth Army 26 July - Stop all refugees.jp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3
[45]
뉴스
Veterans: Other incidents of refugees killed by GIs during Korea retreat
1999-10-13
[46]
뉴스
Orders To Fire On Civilians?
http://www.cbsnews.c[...]
2000-06-06
[47]
문서
Fifth Air Forc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48]
논문
War against an Ambiguous Enemy: U.S. Air Force Bombing of South Korean Civilian Areas, June–September 1950
[49]
문서
USS Valley Forge operations report, U.S. Naval Historical Center
[50]
뉴스
Doubts About a Korean "Massacre"
2000-05-14
[51]
뉴스
Ex-GI acknowledges records show he couldn't have witnessed killings
2000-05-25
[52]
서적
A Century of Media, A Century of War
Peter Lang
[53]
웹사이트
Book accuses AP journalists of sloppy journalism
http://www.frederick[...]
2002-06-23
[54]
웹사이트
A War of Words on a Prize-Winning Story: No Gun Ri authors cross pens on First Amendment battlefield
http://www.sfgate.co[...]
2002-04-07
[55]
뉴스
AP responds to questions about prize-winning investigation
http://nogunri.rit.a[...]
2000-05-16
[56]
웹사이트
What really happened at No Gun Ri?
http://www.c-span.or[...]
C-SPAN
2004-07-20
[57]
뉴스
War and Remembrance
2000-05-21
[58]
뉴스
A Press Divided: Disputed Accounts of a Korean War Massacre
2000-05-22
[59]
뉴스
U.S. to Revisit Accusations Of a Massacre By G.I.'s in '50
https://www.nytimes.[...]
1999-10-01
[60]
문서
Cable, U.S. Embassy, Seoul. October 14, 1999. "A/S Roth puts focus on cooperation in Nogun-ri review".
[61]
뉴스
Dong-a Daily
2000-12-07
[62]
논문
No Gun Ri: A Cover-Up Exposed
http://journals.law.[...]
2002
[63]
뉴스
Korean Group Rejects U.S. Regret for War Incident
https://www.highbeam[...]
2001-01-13
[64]
문서
Statement of Mutual Understanding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No Gun Ri Investigations
2001-01
[65]
웹사이트
US 'deeply regrets' civilian killings
http://news.bbc.co.u[...]
2001-01-11
[66]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Korean War incident at No Gun Ri
http://clinton6.nara[...]
2001-01-11
[67]
뉴스
No Gun Ri Survivors Denounce Report
http://www.cbsnews.c[...]
2001-01-11
[68]
보도자료
News Conference in Seoul on the Nogun-ri Investigation
2001-01-12
[69]
뉴스
Army says GIs killed South Korean civilians, Clinton expresses regret
2001-01-11
[70]
뉴스
US sticks to 2001 offer for shooting victims
2005-08-05
[71]
뉴스
Army confirms G.I.'s in Korea killed civilians
https://www.nytimes.[...]
2001-01-12
[72]
뉴스
U.S. Statement on Killings Disappoints South Koreans
https://www.washingt[...]
2001-01-12
[73]
뉴스
MOP, GNP criticize Clinton's statement on Nogun-ri
2001-01-13
[74]
뉴스
No Gun Ri: Still No Answers
2001-03-26
[75]
웹사이트
File:No Gun Ri 04 - USAF 25 July - Memo tells of policy to strafe refugees.jp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3
[76]
뉴스
No Gun Ri: Unanswered
2001-01-13
[77]
뉴스
New Account of No Gun Ri; AF Memo: Army Sought Strafing
2001-01-19
[78]
이미지
No Gun Ri mission reports
[79]
웹사이트
File:No Gun Ri 06a - Muccio letter 26 July - Decision to shoot refugees.pn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4
[80]
웹사이트
File:No Gun Ri 06b - Muccio letter 26 July - Decision to shoot refugees.pn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4
[81]
웹사이트
File:No Gun Ri 17 - Maj. Gen. Gay 29 August - Refugee are fair game.jp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4
[82]
웹사이트
File:No Gun Ri 15 - 8th Cavalry 9 August - Shoot all refugees.jpg
http://commons.wikim[...]
Wikimedia Commons
2012-01-14
[83]
논문
Beyond No Gun Ri: Refugees and the United States military in the Korean War
2005
[84]
뉴스
Seoul Awaits US Explanation on No Gun Ri
2006-06-02
[85]
뉴스
US Still Says South Korea Killings 'Accident' Despite Declassified Letter
2006-10-30
[86]
서적
Embattled Memories: Contested Meanings in Korean War Memorials
University of Nevada Press
[87]
서적
The Issue of Human Rights Violations During the Korean War and Perception of History: Focusing on the No Gun Ri and Other U.S. Military-Related Cases
Dunam Publishing Co.
[88]
뉴스
Court-martial could have been Korea vets' fate
http://www.deseretne[...]
1999-10-02
[89]
뉴스
Prosecutions an option in Korean War inquiry
https://news.google.[...]
2000-02-03
[90]
서적
No Gun Ri Still Lives On
Yongdong County Office; Dunam Publishing Company
[91]
뉴스
MDP Calls for Reinvestigating Nogun-ri Case
2002-01-18
[92]
뉴스
Korean commission finds indiscriminate killings of civilians by US military
https://www.nbcnews.[...]
2008-08-03
[93]
서적
Anti-Americanism in Democratizing South Korea
Walter H. Shorenstein Asia-Pacific Research Center Books
[94]
뉴스
PCUSA Approves Overtures Involving 'No Gun Ri' Incident and Promot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www.christian[...]
2016-06-30
[95]
보도자료
Assembly affirms centrality of Peacemaking in Christian faith
https://www.pcusa.or[...]
Presbyterian News Service
2016-06-25
[96]
뉴스
The excavation of remains in No Gun Ri, Yongdong, ends without big results; two pieces of child bone found
http://news.naver.co[...]
2007-10-10
[97]
뉴스
Search for remains of Nogeun-ri massacre likely to end with no remains found
https://web.archive.[...]
2007-08-22
[98]
뉴스
Gov't to Build Memorial Park for Victims of Nogeun-ri Massacre
http://english.hani.[...]
2007-03-22
[99]
뉴스
No Gun Ri victims cemetery completed
http://news.naver.co[...]
2009-06-23
[100]
뉴스
Film to depict No Gun Ri
2006-05-23
[101]
뉴스
Nogeun-ri tragedy retold in cartoon book
http://english.hani.[...]
Sai Comics
2006-11-27
[102]
서적
Lark & Termite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103]
서적
The Deaths of Others: The Fate of Civilians in America's Wars
Oxford University Press
[104]
백과사전
South Korea
Oxford University Press
[105]
뉴스
Korean War Panel Finds U.S. Attacks on Civilians
https://www.nytimes.[...]
2010-07-09
[106]
뉴스
Korea bloodbath probe ends; US escapes much blame
2010-07-11
[107]
학술지
Truth and Reconciliation: Activities of the Past Three Years
2009-03-20
[108]
학술지
Comprehensive Report, Volume 1, Part I
2010-12-01
[109]
뉴스
More Korean War Massacres?
http://www.cbsnews.c[...]
1999-10-08
[110]
뉴스
""
Dong-a Daily
1999-10-13
[111]
문서
""
[112]
뉴스인용
진실만을 캐라. 진실을
http://h21.hani.co.k[...]
한겨레 21
[113]
방송
노근리는 살아있다.
청주 문화방송
2010-06-25
[114]
뉴스인용
노근리 역사공원‘첫 삽’떴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6-21
[115]
웹인용
강풀 작가의 만화 짱이
http://www.alittlepo[...]
2010-06-21
[116]
웹인용
작은 연못 누리집 미니다큐
http://www.alittlepo[...]
2010-06-21
[117]
웹인용
작은 연못 제작정보
http://www.cine21.co[...]
2010-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